앱 첫 화면 ‘배민 배달’ 꼼수 시정···업주들 “가게배달 노출 더 줄어” 반발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앱 첫 화면 ‘배민 배달’ 꼼수 시정···업주들 “가게배달 노출 더 줄어” 반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06-09 10:23

본문

‘자사 배달 우대’ 논란이 인 배달의민족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 요청을 반영한 새 홈화면 노출 방식을 시범 운영한다. 자사 서비스인 ‘배민배달’과 ‘가게배달’ 광고 배너 크기를 같게 해 형평성을 맞췄다는 것인데, 배민배달이 우선 노출되도록 디폴트값(초깃값)이 설정돼 있어 입점 업주들 사이에서는 개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배민 홈페이지 공지를 보면 배민은 오는 11일부터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앱 홈화면 개편 테스트를 시작한다. 배민 관계자는 7일 배민배달과 가게배달 배너 크기·너비를 같게 해 형평성을 맞추고자 한 게 가장 중요한 변화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정위로부터 자사서비스인 ‘배민배달’이 ‘가게배달’보다 홈화면 노출 면적이 크다는 지적을 받자 이를 수정한 것이다. 실제 개편된 화면에는 배민배달과 가게배달 배너가 같은 크기로 돼 있다.
문제는 홈 화면 초깃값이다. 최초 이용자는 배민배달이 초깃값으로 설정돼 있다. 이 때문에 ‘고기·구이’ ‘치킨’ ‘1인분’ 등 배달 품목 카테고리도 배민배달 기준만 보인다. 가게배달 기준으로 보기 위해서는 배민배달 항목 옆에 가게배달 항목을 한 번 더 클릭해야 한다. 배민 관계자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취지라면서 최초 이용자에게는 배민배달이 우선 노출되지만 기존 이용자는 최근 주문 이력 등을 반영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부 점주들은 배민이 배민배달을 우대하기 위해 홈 화면을 재구성한다고 의심한다. 배민배달과 가게배달은 수수료 과금 체계·배달 형식이 다르다. 가게배달 서비스는 일정 금액을 내고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이용하는 정액제다. 배민이 중개만 하고, 배달은 입점업체가 계약한 배달업체가 한다. 반면 배민배달은 배민이 직접 배달하는 서비스로, 정률제다. 배민 배달을 통한 매출이 커질수록 입주업체가 배민에 내야 하는 수수료도 많아진다.
앞서 배민은 2021년 처음 배민배달(당시 배민원)을 출시할 당시 홈 화면에 이를 가게배달과 나란히 같은 크기로 배치했다. 그러다 지난해 8월, 홈화면에서 배민배달이 더 눈에 잘 띄도록 구성을 바꿨다. 개편된 홈화면에는 배민배달이 가게배달보다 3배가량 더 크게 노출됐다. 또 배민배달은 배달 품목 카테고리가 바로 보였지만, 가게배달은 한 번 더 배너를 클릭하고 들어가야 했다. 이에 일부 점주들이 배민의 행위가 자사우대에 해당한다며 공정위 등에 신고했다. 공정위가 자진 시정을 요청하자 배민은 지난 4월 문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고, 이번에 새로운 홈화면 시범 개편안을 내놓은 것이다.
일부 점주들은 새 앱 화면이 오히려 배민배달 쏠림 현상을 키울 것이라고 우려한다. 분식업종 점주 A씨는 개편안대로라면 이전보다 가게배달의 노출 빈도가 훨씬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지난 수 개월간 쿠폰할인 등으로 배민배달을 힘껏 밀어주면서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다는 건 결국 가게배달을 고사시키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12년차 점주 B씨는 일반 소비자는 배민배달이나 가게배달을 구분하지 않고 첫 화면에서 상품을 선택한다. 기본노출이 배민배달이면 가게배달을 클릭할 이유가 없다면서 사장님 100명 중 99명은 이번 개편은 개악이라고 할 것이라고 했다.
온라인상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이어졌다. 점주들이 활동하는 네이버 카페에서 한 점주는 이전에는 잘 모르는 고객들이 가게배달을 선택하고 올 수 있었는데 이제는 그냥 바로 배민배달로 고객을 유입시킨다며 돈(홍보비)은 돈대로 받으면서 가게배달을 전멸시키려고 한다는 내용의 글을 적었다. 다른 점주들도 오히려 더 안 좋아진 듯하다. 꼼수 지긋지긋하다 눈 가리고 아웅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배민 관계자는 업주들의 권익 보장을 위해 공정위와 협의를 거쳐 마련한 안이라며 테스트가 끝나면 지표를 분석해 개편안을 확정할 것이다. 현재 테스트 화면이 최종안은 아니다라고 했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A씨(29)는 얼마 전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오전 9시에 맞춰 온라인쇼핑몰 ‘인터파크’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었다. 한 아이돌그룹의 팬 콘서트 휠체어석을 예매하려고 했다. A씨는 전화 예매로 사람들이 몰려 40분 이상 전화를 들고 기다린 적도 있다며 손이 빠른 상담원과 통화를 해야 예매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성공 여부는 운에 맡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교통약자로 문화시설 접근성이 떨어지는 휠체어 이용자들은 공연 티켓 예매도 어려움을 겪는다. 7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휠체어 이용자 등은 온라인 예매가 불가능하다. 업체들은 휠체어석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장애인들은 공연 예약 단계에서부터 높은 문턱을 마주한다.
대부분 공연장의 휠체어석은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웹 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예매가 불가능했다. 휠체어석 예약 오픈 시간에 맞춰 고객센터로 전화해 공연명과 날짜, 결제 수단 정보 등을 직접 상담원에게 알려줘야 한다. 전화예약은 온라인 예약보다 티켓값이 비싸기도 했다. 인터파크, 멜론티켓 등 예매 플랫폼들은 티켓 1장 당 전화 예매 수수료를 온라인보다 1000원을 더 받는다.
전화 예매로 제공되는 정보가 없다는 점도 휠체어석 이용자들이 꼽는 불편함이다. 이들은 휠체어석이 몇 석이나 남았는지, 어떤 위치의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지 알 수 없어 선택권을 제한받는다고 지적한다. 한 티켓 예매 플랫폼 관계자는 공연 주최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식이라며 정부의 가이드라인 등이 따로 없으니 주최사의 결정을 따를 뿐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티켓 예매 플랫폼 관계자는 티켓 예매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과 관련해 정부 부처와 소통을 하며 신경을 쓰려 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윤선 한국접근가능한관광네트워크 대표는 비장애인들은 클릭 몇 번이면 하는 티켓 예매가 장애인에게는 시작부터 난관이라며 장애인들이 휠체어 유무, 중증 장애 여부, 동반인 좌석 포함 여부 등을 사이트에 직접 입력해 예매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X(옛 트위터)의 ‘휠체어석 어디까지 가봤니’ 계정은 서울 대학로 인근 극장들의 휠체어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 당사자가 운영하는 이 계정은 직접 가본 극장 휠체어석들의 위치와 착석 후 시야 등 정보를 올린다. 주최 측 정보 제공이 없어 마련한 자구책의 일환이다.
지난 2월 휠체어 사용자인 가수 강원래씨가 휠체어석이 없어 영화를 관람하지 못했던 사연이 알려지면서 장애인 문화 공연 접근성에 대한 정치권과 여론의 관심이 일기도 했다. 지난 3월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공연장 휠체어석 판매 의무화와 온라인 예매 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서울시의회에서는 지난달 서울시가 관리·운영하는 공연장에서 휠체어석도 온라인 구매가 가능하게 하는 조례안이 발의됐다.
전문가들은 국가가 장애인 공연 접근성을 제도로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문화 공연 자체가 공공성이 있는 것인데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공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냐며 휠체어석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마련해 공공의 인증을 받게 하는 등 국가가 민간 공연 주관사들에게 (접근성 관련)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8
어제
0
최대
11,602
전체
1,650,26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